전세 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!
처음 듣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봤습니다.
✅ 어떤 대출인가요?
청년들이 전세보증금 마련에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정부가 저금리로 전세자금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고, 수탁은행(우리은행, 국민은행, 농협 등)을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.
👤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기본 조건
-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
- 무주택 세대주 (예비 세대주도 가능)
-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※ 신혼부부: 7,500만 원 / 다자녀: 6,000만 원까지 - 순자산 3.37억 원 이하
- 기존 전세자금대출, 주택담보대출 미이용자
🏡 어떤 집에 살 수 있나요?
- 전용면적 85㎡ 이하 (약 25평)
※ 단독세대주(25세 미만)는 60㎡ 이하 - 보증금 3억 원 이하
- 쉐어하우스, 오피스텔, 기숙사도 가능 (일부 조건 있음)
💰 얼마나 빌릴 수 있나요?
- 최대 2억 원 (25세 미만 단독세대주는 1.5억 원)
- 전세보증금의 80% 이내
- 대출 기간: 2년 (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)
📉 대출 금리는?
부부합산 연소득임차보증금 3억 이하
부부합산 연소득 | 임차보증금 |
3억원 이하 | |
2천만 원 이하 | 연 2.2% |
2천만원~4천만 원 이하 | 연 2.5% |
4천만원~6천만 원 이하 | 연 2.9% |
6천만원~7.5천만 원 이하 | 연 3.3% |
※ 변동금리, 국토교통부 고시 기준
📄 신청 시기와 방법은?
- 신청 시기:
- 신규 계약: 전입일 또는 잔금일 기준 3개월 이내
- 갱신 계약: 갱신일 기준 3개월 이내
- 신청 방법:
- 기금e든든 앱/홈페이지에서 비대면 신청
- 신청 후 은행 방문 필수!
📌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!
- 전세 계약서상 보증금의 5% 이상을 먼저 지급해야 신청 가능!
- 기존에 주택도시기금 대출이나 다른 전세자금대출이 있으면 신청 불가
- 공공임대주택 거주 중인 경우 신청 불가 (단, 퇴거 예정이면 가능)
월세에서 벗어나 전세로 갈아타고 싶은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!
정부의 저금리 지원을 적극 활용해서 주거비 걱정을 줄여보세요. 신청 전에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, 계약 전에 수탁은행 상담은 필수입니다.
전세자금대출 신청 조건, 방법,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해드립니다
전세로 집을 구할 때 가장 큰 고민은 바로 목돈 마련이죠. 이럴 때 많은 분들이 선택하는 것이 바로 전세자금대출입니다.오늘은 전세자금대출이 어떤 제도인지,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, 그리고
happyforall.inforpie.com
반응형